투자공부/책
(이론과 실전을 모두 담아 새로 쓴)한국형 가치투자_5.종목 발굴(2)
JohnChoe
2024. 11. 12. 23:28
반응형
☞촉매
: 내재가치를 드러내서 주가 상승 속도를 빠르게 만들어주는 존재
- 촉매 : 저평가를 해소해주는 요인으로 발현되지 않아도 그만
- 모멘텀 : 있다가 없어지면 주가 하락으로 연결됨
촉매는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숨겨진 변화 가능성임.
주식시장은 변화에 대해 강한 흥분감을 느끼므로 촉매가 드러났을 때 빠른 보상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음.
1) 내적 촉매
: 기업인수, 흑자사업 양수, 적자사업 정리, 유휴자산 개발 및 매각, 지배구조 개선, CEO 교체 등 경영진의 의사결정에서 비롯된 변화를 의미함.
2) 외적 촉매
: 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긍정적으로 변하는 것. 준비된 기업만이 누릴 수 있으나 그렇다고 기업이 통제하는 요인은 아님.
주로 산업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.
☞능력의 범위
약세장은 투자자가 자신이 가진 능력의 범위 안에 머물러 있는지 테스트하는 시기다.
강세장과 달리 주가가 약재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해 움직이기 때문임.
미스터마켓은 "너 이 회사 잘 알아?" "너 진짜 자신 있어?" 이렇게 말하듯 윽박지른다.
만약 비중이 높은 종목이 능력의 범위 안에 포함되지 않으면 약세장에서 대참사가 벌어진다. 겁에 질려 주가의 바닥권에서 악재성 뉴스 몇 개에 주식을 매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.
예컨대 SK이노베이션, S-Oil, GS를 보면서 어디가 가장 좋은 회사이며 세 회사 간의 차이가 무엇인지 바로 말할 수 있다면 정유업이 이미 당신이 가진 능력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말할 수 있음.
반응형